일반 직장인의 의사소통 유형을 조사해보니 말하기가 30%, 글쓰기가 70%라고 한다.
각종 계획서, 평가서, 보고서, 제안서 등 써야 할 글의 종류도 많다.
어떻게 하면 업무에 도움이 되는 읽고 쓰기를 할 수 있을까?
첫 번째 비법 – 책을 통한 자료 수집
인풋(in-put)이 있어야 아웃풋(out-put)이 생긴다는 점에서 자료 수집은 글쓰기의 첫 번째 순서다. 대표적인 자료 수집 방법은 독서다. 그 외에도 내가 써야 하는 주제와 관련된 도서와 논문, 유튜브, 뉴스, 칼럼, 사례 등을 많이 수집하는 것이 글쓰기의 재료를 풍부하게 만들어준다.
책을 쓰는 작가들은 내가 쓰는 원고 분량의 100배만큼 자료를 준비하라고 말한다. 또한 내가 쓰려고 하는 주제의 책을 50권이나 100권을 읽으면 못 쓸 책이 없다고 말한다. 자료 조사의 중요성을 말한 것이다. 더 이상 할 말이 생각나지 않는 것은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제안서나 연간 사업계획서 등 써야 하는 글의 주제가 정해져 있다면, 하루 1개씩 주제와 관련된 유튜브 검색, 칼럼 검색, 도서 읽기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자.
인터넷보다 책을 통한 자료 수집을 더 추천한다. 정보가 많고,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인터넷의 장점 때문에 우리는 더 이상 정보를 머릿속에 저장하지 않고, 깊이 있는 사고를 하지 않게 됐다.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정보를 수집하다 보니 더 이상의 생각을 하지 않게 되는데, 그럼 글쓰기도 잘하기 어렵다.
책은 다르다. 책을 정기적으로 읽으면 이 인물은 왜 이럴까, 작가의 의도는 무엇인가, 내가 이런 비슷한 경험이 있는가, 내 경험과 이 책의 다른 점이 무엇인가 생각하게 된다. 생각을 하면 할수록 점점 몰입하게 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사고가 확산된다. 다시 말해 사고의 확산은 독서에서 시작된다.
두 번째 비법 – 책 읽고 따라 쓰기
글쓰기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익혀야 하는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직장인의 80% 이상은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데, 글쓰기를 제대로 배우지 못해서다. 많이 쓰다 보면 글쓰기 능력은 늘 수밖에 없다. 직장생활을 한 지 17년이 됐는데, 1년간 많게는 600개 이상의 기안을 쓰고 연 6회 이상 20~30매가 넘는 제안서를 썼다. 그렇게 3년, 10년, 15년이 지나자 점점 업무용 글쓰기에 익숙해져갔다. 업무용 글쓰기 외에도 두 권의 책을 쓴 작가가 됐다. 그렇다고 지금은 글쓰기가 쉽냐고 묻는다면 여전히 ‘아니다’라고 답한다. 왜냐하면 죽을 때까지 익히고 배워야 하는 기술이 바로 글쓰기이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창의적인 글쓰기보다는 따라 쓰는 필사를 추천한다. 필사는 작가의 문장 그대로 단어와 문장부호, 띄어쓰기까지 똑같이 따라 쓰는 것을 말한다. 작가 지망생들은 유명 작가의 책 한 권을 따라 쓰는 전체 필사를 하기도 하는데, 난 좋은 문장만 따라 쓰는 부분 필사를 한다. 책을 읽으면서, 또 필사를 하면서 글쓰기 실력을 키웠고, 결과적으로 책을 낸 작가가 될 수 있었다. 책 1000권을 읽으면서 1000명 작가들의 수십 만 개의 문장을 만났고, 그중 필사할 문장을 고르면서 좋은 문장을 보는 안목이 생겼다. 손으로 몇 천 개의 문장 따라 쓰기를 하다 보니 작가들의 실력을 흉내 내면서 글쓰기 실력이 늘었다. 글쓰기는 엉덩이의 힘으로 향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