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4. 강조
44. 강조
비교과통합센터2012-11-30

▲ 사랑의 귓속말은 간결하게

의사소통의 핵심은 메시지 전달이다. 메시지는 간결할수록 정확하게 전달된다. 면접에서도 말을 길게 하면 더듬거리게 되고 두서가 없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왜 그럴까?

글쓰기 수업에 즐겨하는 언어놀이가 있다. 대여섯 명의 참가자를 성별로 나누어 귓속말로 단어를 전달하는 게임이다. 단순하면서도 흥미만점인 이 실험을 나는 ‘사랑의 귓속말’이라고 부른다. ‘사랑의 귓속말’ 실험 참가자들은 전달 과정에서 간섭과 왜곡이 이루어지는 것을 체험한다. 실험 결과 여성으로 구성된 그룹이 남성그룹보다 오류가 적었으며 짧은 문장일수록 정확히 전달됐다. 가장 사고가 많이 나는 그룹은 혼성그룹이었다. 이 문제 그룹의 일부 참가자는 귀까지 빨개진다.(오, 수줍은 오월의 청춘이여!)

‘사랑의 귓속말’ 실험의 결과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거리’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친밀한 사이일수록 상대적으로 왜곡이 적다는 사실은 독자와의 거리 좁히기의 중요성을 반증한다. 글쓰는 이가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수신자와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간결한 문장을 사용해야 한다. 주어와 서술어의 거리를 되도록 줄이자. (문장 길이는 호응과도 연결된다.) 표현하기 전에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잘 듣고, 잘 말하는 방법이다. 자신의 말을 녹음해서 듣는 것도 방법이다.(자신의 글을 소리 내어 읽는 것도 같은 효과를 낸다.) 혹시 같은 말을 되풀이하며 주장만 늘어놓진 않는가? 반복되는 말은 잔소리로 느껴질 뿐이다. 그런데 잔소리를 읽어야 한다고? 끔찍하다.

▲ 심리적 부담을 극복해서 문장을 다이어트하자.

메시지가 불완전한 전달은 오히려 ‘잘 말하고’ ‘잘 쓰고’ 싶은 욕구 때문이다. 정보를 강조하려는 의도와 최적화되지 못한 환경은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글쓰기 초심자는 무의식적으로 단어와 의미를 반복한다. 메시지를 전달해야 된다는 강박 때문이다. ‘~해야 된다.’ ‘~하면 안 된다.’라는 생각이 글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글쓰기 책을 읽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잘 쓸 수 없지만 잘 써야 한다. 잘 쓰는 저들처럼.”

어려운 사람과 대화를 할 경우(가령 취업 면접) 입술이 마르고, 머릿 속이 하얗게 되며 심장박동은 빨라진다. 긴장하면 말의 두서가 없게 되고 같은 단어를 되풀이하는 증상이 생긴다. 곧 ‘망쳤다!’라는 후회가 밀려온다. 단어 반복은 메시지의 강조가 아닌 강박이다. 긴장에서 벗어나려면 간결한 문장을 사용해야 한다. 단문일수록 앞 문장과 뒷 문장 사이 생각할 여유가 생긴다.

 

▲ 문제를 줄이자.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강박이 만드는 반복은 말 보다 글에서 더 선명해진다. “구조조정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라는 문장은 ‘문제’라는 단어가 반복되었다. 이

1) 구조조정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 2) 구조조정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 로 바꿀 수 있다. 1)은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을 강조하고 있으며 2)는 어렵지만 해결해야 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문장을 줄이면서 의미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어휘력의 부족도 단어중복의 원인이다. 머릿속에 언어창고가 비어 있으면 낱말을 되풀이 쓸 수밖에 없다. 어휘를 중복해서 쓰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이 희박한 것도 한 이유. 읽기를 통해 어휘 창고를 채우고, 겹말과 중복 단어를 정리해 보자. 문장을 간결하게 하자.

 

 

박태건 (글쓰기센터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