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59. 하얘지다?/하예지다?/하애지다?/하에지다? | |
---|---|
의사소통센터2013-06-03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이메일 프린트 |
(1)가. 얼굴이 금세 (하얘진다 하예진다 하애진다 하에진다). 나. 하늘이 금세 (허얘졌네 허예졌네 허애졌네 허에졌네). 다. 얼굴이 금세 (발개진다 발게진다). 라. 얼굴이 금세 (벌개진다 벌게진다). 마. 얼굴이 왜 그리 (빨개 빨게). 바. 얼굴이 왜 그리 (뻘개 뻘게). 각각의 문제에서 ‘하얘진다’, ‘허예졌네’, ‘발개진다’, ‘벌게진다’, ‘빨개’, ‘뻘게’ 등이 정답이다. 원리는 의외로 간단하다. ‘하얘지다’, ‘허예지다’는 ‘하얗다’, ‘허옇다’에서 파생된 말이다. ‘하얗다’, ‘허옇다’의 두 번째 글자 ‘얗/옇’이 힌트이다. ‘야/여’가 표기에 반영된 형태를 고르면 된다. ‘하얘진다’의 두 번째 글자에서 ‘얘’가 확인되는데, ‘얘’는 ‘야’와 관련된다. ‘야[얗-]’에 ‘이’가 결합되어 만든 글자가 바로 ‘얘’이다. ‘허예졌네’의 두 번째 글자에서 ‘예’가 확인되는데, ‘예’는 ‘여’와 관련된다. ‘여[옇]’에 ‘이’가 결합되어 만든 글자가 바로 ‘예’인 것이다. (1다)∼(1바)는 기본형 ‘발갛다’, ‘벌겋다’, ‘빨갛다’, ‘뻘겋다’의 두 번째 글자에 개재된 모음 ‘아’, ‘어’가 힌트이다. 두 번째 글자에서 ‘아’, ‘어’가 보이는 형태, ‘발개진다’, ‘벌게진다’, ‘빨개’, ‘뻘게’를 고르면 된다. ‘아’에 ‘이’가 결합되어 만든 글자가 바로 ‘애’이며, ‘어’에 ‘이’가 결합되어 만든 글자가 바로 ‘에’인 것이다. (2)에 제시된 문제도 동일한 원리로 접근하면 된다. (2)가. 하늘이 금세 (파래진다 파레진다). 나. 하늘이 금세 (퍼래진다 퍼레진다). 다. 안개가 끼어 하늘이 (뽀얘 뽀예 뽀애 뽀에). 라. 안개가 끼어 하늘이 (뿌얘 뿌예 뿌애 뿌에). ‘파래진다’, ‘퍼레진다’, ‘뽀얘’, ‘뿌예’가 정답이다. 이에 관한 설명은 위에 제시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원리는? ‘하얗다’, ‘허옇다’의 두 번째 글자 ‘얗/옇’이 힌트이다. ‘야/여’가 표기에 반영된 형태를 고르면 된다. ‘하얘’, ‘허예’로 적는 것이 맞다. ‘하예’, ‘하애’, ‘하에’ / ‘허얘’, ‘허애’, ‘허에’로 적지 않도록 하자.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