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안의 감정 하나, 눈물 하나가 글이 되다
결혼을 하고 나서 제일 신경 쓰였던 것 중에 하나가 음식이었다. 결혼 전 음식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치우는 것은 좋아하는데 음식을 만드는 것은 생각보다 잘 되지 않았던 것 같다. 그...
의사소통센터2018/09/10
-
글쓰기는 사진보다 선명한 기록 장치다
최근, 한 기사를 통해 요즘 세대들이 카톡 글까지 대필할 정도로 긴 글에 대한 공포증을 가지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빠르게 소비할 수 있는 ‘스낵컬처’에 익숙해진 세대이니 그런 성향을 ...
의사소통센터2018/09/03
-
위대한 글쓰기의 핵심은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텔링은 동굴에 벽화를 그리거나 횃불을 휘두르기 시작했을 때부터 인류가 계속 해오던 일이다. 우리는 상상을 사로잡는 강력한 이야기에 저절로 반응한다. 글을 쓸 때 사실을 강조하기 쉽다....
의사소통센터2018/08/29
-
콜럼버스여, 달걀 값 물어내라
어떤 기업 광고에서 ‘콜럼버스의 달걀’을 소재로 삼아 상식을 뛰어넘는 발상의 전환을 강조하는 것을 보았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상륙이 뭐 별거냐고 시비가 붙자 즉석에서 달걀 세우기 논쟁...
의사소통센터2018/08/20
-
글쓰기는 나와 친해지는 일
‘나는 왜 엄마만 미워했을까.’ 글쓰기 수업에 참여한 20대 여성이 써온 글의 제목이다. 맞벌이 부모 밑에서 자랐다. 집은 늘 서늘했다. 친구의 엄마들처럼 집안에 온기를 불어넣어 주고 입시 전형에 같이 머리 맞...
의사소통센터2018/08/13
-
사소한 경험에서 시작되는 글쓰기
우리는 소소한 일상에서 언제든지 글쓰기의 소재를 발견할 수 있다. 매일 벌어지는 일, 의문이 생길 때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 예전에 읽은 책들 중 기억하고 있는 문장, 비 오는 날의 냄새, 사람들과...
의사소통센터2018/08/06
-
문학의 갈래 – 희곡
<희곡> 1. 개념 및 정의 1) 문학의 한 장르 희곡(戱曲, drama)은 시와 소설, 비평(批評)과 함께 문학(文學, literature)의 대표적인 장르 중 하나로서, 특히 무대 공연을 위해 쓰인 대본을 가리킨다...
의사소통센터2018/07/30
-
자기소개서에서 ‘직무관련 경험’을 강조하라
이력서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건 ‘직무관련 경험’·· 기업 인사담당자가 이력서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은 ‘직무관련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담당자는 평균 1명의 입사지원서를 13분간 들여다보...
의사소통센터2018/07/25
-
자기소개서 뭘 쓰지?
자기소개서 쓰는 법 “도대체 뭘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고3 기말고사를 마치고 대학 수시모집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다. 이런 막막함을 안고 학부모와 수험생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자...
의사소통센터2018/07/24
-
문학의 갈래 – 수필
수필의 개념과 특징 1. 수필의 개념 수필이란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인생이나 자연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을 말한다.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고 경험한...
의사소통센터2018/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