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4. 응답하라 3927
응답하라 3927 TV 드라마 ‘응답하라 1994(이하, 응·사)’를 즐겨본다. 청춘남녀의 알콩달콩한 연애담이 펼쳐지는 하숙집은 낭만이 살아 있던 ‘캠퍼스의 그때’를 추억한다. ‘응사’는 낭만적 ...
의사소통센터2014/01/08
-
73.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라’에 담긴 고심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라’에 담긴 고심 지난 ‘사랑해요 한글’에서는 표준어의 요건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표준어의 요건에 대해 검토한 이유는 ≪한글맞춤법≫의 첫 부분을 설명하기 위...
의사소통센터2014/01/06
-
72. 표준어란? “교양”?, “두루”?
표준어란? “교양”?, “두루”? 이번 주에는 표준어가 무엇인지? 즉 표준어의 요건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표준어의 요건에 대해 검토하려는 이유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1장 제1항에 “한글 맞춤법...
의사소통센터2014/01/06
-
71. 안 가더라도 / 않 가더라도
안 가더라도 / 않 가더라도 ‘안’과 ‘않’이 헷갈리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 모양이다. 지난 호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것도 두 발음이 같기 때문에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다. 그 규칙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은 그...
의사소통센터2014/01/06
-
70. 둘째 글자에 있는 모음 발음 혼란
둘째 글자에 있는 모음 발음 혼란 — ‘하얘?’와 ‘하애?’ ; ‘군산 대야?’, ‘대아수목원’ — ‘처먹-’, ‘쳐먹-’과 같이 발음 구분이 어려운 것은 적을 때마다 헷갈리게 된다. ‘하얘지-’를 제대로 적는 학...
의사소통센터2014/01/06
-
69. 모음 발음을 못하니 쓸 때도 헷갈려
모음 발음을 못하니 쓸 때도 헷갈려 새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사랑해요 한글’도 ‘시작’이란 의미에서 발음과 맞춤법 간의 관계에 대해 몇 주에 걸쳐 검토해보려 한다. 한국어의 모음은 일반적으로 10개로 ...
의사소통센터2014/01/06
-
68. 독서토론대회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
독서토론대회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 ▲ 핵심 쟁점을 발견하라 2013 후마니타스 독서토론대회(이하 ‘독토대회’)가 끝났다. 독토대회는 공통의 문제에 대해 자기편의 주장을 받아들이도록 상대방을 설...
의사소통센터2014/01/06
-
67. 시험 답안지 잘쓰는 법
시험 답안지 잘 쓰는 법 시험 답안지는 학생과 교수에게 각각의 의미를 갖는다. 학생은 공부한 흔적을 증명하기 위해 교수는 강의의 효과를 확인하는 입장에서 답안지를 대한다. 그런데 열심히 답...
의사소통센터2014/01/06
-
66. 가을야구와 단락쓰기
가을야구와 단락쓰기 ▲ 초구(初球), 첫 문장이 중요하다. 가을야구 시즌이 시작됐다. 국내·외의 포스트 시즌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야구는 1루, 2루, 3루를 거쳐 베이스로 돌아오는 스포츠다. ...
의사소통센터2014/01/06
-
65. 축구경기 요약하는 법
축구경기 요약하는 법 JP는 나와 친한 동화작가다. 축구경기가 있는 날이면 어김없이 월드컵 경기장에 있다. 그는 자신을 아마추어 축구평론가로 불러주길 바란다. 지난 여름, 치맥(치킨과 맥주)의 유혹에 빠져 J...
의사소통센터201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