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6. 용납치/용납지, 생각컨대/생각건대
‘폭발’과 ‘폭팔’, ‘어차피’와 ‘어짜피’, ‘뿌리채’, ‘뿌리째’ 등 사람마다 발음을 달리하는 단어가 더러 있다. 이것도 넓게 보면 하나의 방언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국어에서 된소리(ㄲ, ㄸ, ㅃ, ㅆ, ㅉ)...
의사소통센터2012/11/30
-
35. 곰탕을 처먹는다/쳐먹는다.
새 학기가 되어 ‘사랑해요 한글’을 다시 접하게 되었다. 머리도 식힐 겸 읽어보면서 원리를 정리하면 좋겠다. 다음 말들 중 무엇이 맞는지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런데도 우리는 관련되는 말들을 굉...
의사소통센터2012/11/30
-
34. 선생님, 다음 주에 뵈요/봬요.
학생들이 교수에게 메일을 보낼 때가 있다. 그런데 마지막 부분 끝인사로 “선생님, 그럼 다음 주에 뵈요”라고 적는 경우가 많다. 문자 메시지를 이용할 때도 이런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중․고등학...
의사소통센터2012/11/30
-
33. 갈께/갈게, 갈껄/갈걸
이번 주에도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기를 대상으로 해 보자. 아는 사람과 문자[카톡 포함]를 교환하다 보면 ‘10분 후에 갈게’라는 표현을 쓰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갈께’로 써야 하는지 ...
의사소통센터2012/11/30
-
32. 갈는지/갈런지
TV에서 자막 표기를 보면 많이 틀리는 것 중 하나가 저번 주에 살펴본 ‘뭐예요O, 뭐에요×’와 이번 주에 알아 볼 ‘갈는지?/갈런지?’이다. (1) 그 사람이 그 일을 제대로 (갈는지 갈른지 갈런지) 의문이다. ...
의사소통센터2012/11/30
-
31. 한대요/한데요, 하재요/하제요
‘간대요 글쎄’라는 대중가요가 있다. 그런데 그 제목을 어떻게 적어야 할지 난감해하는 사람도 있다. 노래방 기기에 따라서 정확하게 표기되지 않기도 한다. ‘간데요 글쎄’, ‘간데요 글쌔’, ‘간대요 글쎄’...
의사소통센터2012/11/30
-
30. 뭐예요/뭐에요?, 무엇이예요/무엇이에요?
원리 연습 1. 뭐예요/뭐에요?, 무엇이예요/무엇이에요? 이 코너를 통해 격주로 어문규정에 대해 알아가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일단은 표준어를 규정에 맞게 쓰는 것이 맞춤법이라 생각하면 된다. ‘안 그...
의사소통센터2012/11/30
-
♧♣2012년 2학기 세계고전강좌 감상문 공모전♣♧
의사소통센터2012/11/27
-
★☆글 한 편 완성하기 특강 안내☆★
의사소통센터2012/11/20
-
♣신문읽기와 언론사 취업대비 특강♣
의사소통센터2012/11/20